본문 바로가기

일반적things

머피의 법칙이란? | 그 외 다른 재미있는 법칙들 10가지 정리, 예시

새해에 들어선지 벌써 몇주가 흐르고 있다. 첫단추를 잘 끼워서 머피의 법칙(1번 설명 참고)을 피해 2025년을 잘 살아봐야지!

 

세상에는 이런 현상들을 설명하는 재미있는 '법칙'들이 있따. 단순한 우연으로 생긴 현상이 아니라, 사람들의 행동 패턴과 현실에서 자주 반복되는 일들을 하나의 법칙으로 정리한 것이다. 

 

오늘은 일상에서도 공감할 수 있는 흥미롭고 유익한 법칙들을 살펴보자.

 

 

1. 머피의 법칙 

  • 일이 잘못될 가능성이 있다면 정말로 그렇게 된다. 
  • 예시: 중요한 날에만 버스가 늦는다거나, 우산을 안 챙긴 날 꼭 비가 온다. 

 

2. 파레토의 법칙 

  • 20%의 원인이 전체 결과의 80%를 만든다. 
  • 예시: 옷장에서 자주 입는 옷은 20%정도이고, 나머지 80%는 잘 안입는다. 

 

3. 피터의 법칙 

  • 사람은 자신의 한계를 넘어 승진하면 무능해진다. 
  • 예시: 뛰어난 요리사가 매니저로 승진했는데,관리 능력 부족으로 팀을 망친다. 

 

4.파킨슨의 법칙 

  • 주어진 시간에 맞춰 일을 늘리거나 천천히 진행한다. 
  • 예시: 숙제를 하루 전에 하면 2시간 만에 끝나지만, 일주일이 주어지면 일주일 내내 미룬다. 

 

5. 암달의 법칙 

  • 개선해도 중요한 한계점이 있으면 전체 속도는 크게 나아지지 않는다. 
  • 예시: 컴퓨터 CPU 속도를 올려도, 하드디스크가 느리면 전체 성능은 별로 안 빨라진다. 

 

6. 스터전의 법칙 

  • 모든 것의 90%는 별로다. 
  • 예시: 인터넷에 올라온 글 대부분은 신뢰할 수 없거나 쓸모가 없다. 

 

7.더닝-크루거 효과 

  • 모르면 자신감을 가지지만, 알면 알수록 자신이 부족하다는 걸 깨닫는다. 
  • 예시: 초보 요리사가 자신이 요리 천재라 믿다가, 전문가의 요리를 보고 좌절한다. 

 

8.무어의 법칙 

  •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, 반도체의 성능은 약 18개월마다 두배가 된다. 
  • 예시: 10년전 스마트폰과 현재의 스마트폰의 차이
  •  

9.리틀의 법칙 

  • 시스템 내에 대기 중인 사람의 수는 도착률과 체류 시간을 곱한 값이다. 
  • 예시: 음식점에서 손님이 많다면, 도착하는 속도와 체류 시간을 줄이면 해결된다. 
  •  

10. 브란돌리니의 법칙 

  • 잘못된 정보를 반박하는데 더 많은 노력이 든다. 
  • 예시: 누군가 SNS에서 잘못된 정보를 올리면, 그것을 정정하기 긴 글을 써야 한다. 

 

반응형